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이론

논리적인 의사 소통을 위한 'MECE'

by 김썬이 2024. 7. 2.
728x90

MECE는 상호 배타적(Mutually Exclusive)과 종합적으로 사용한(Collectively Exhaustive)이라는 말을 결합한 말로 상호 배타적인 것을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즉, 어떤 문제나 데이터를 중복 없이 분류하고 빠짐없이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인 것입니다.

 

MECE는 프로젝트 관리, 전략 수립, 의사 결정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리스트업이 끝났다면 명확하게 제 자리를 찾기 위해 이 기법을 사용합니다.

MECE 유의사항

먼저 MECE는 분류된 항목들이 서로 중복되지 않고, 각 항목이 유일하게 하나의 범주에 속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 카테고리를 분석할 때, 제품은 오직 하나의 카테고리에만 속해야 합니다.

그리고 MECE는 모든 가능성을 포괄해야 합니다. 즉, 분류된 항목들이 모든 경우를 다 합쳐 전체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항목이 소모되지 않으면 분석이 불완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스가 준비가 되었다면 프로젝트 관리에 도입합니다.

MECE 적용해 보기

1단계 : 문제 정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명확히 정의된 문제로부터 정확한 문제 분석이 가능합니다.

예) OTT 서비스의 신규 고객 향상을 위한 광고를 진행할 것이다.

2단계 : 주요 범주에 따른 세부 항목 나열

먼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범주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비스니스 문제라면 '시장', '제품', '고객'과 같은 범주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범주 내에서 작은 세부 항목을 나열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 범주에서는 '기존 고객', '신규 고객', '잠재 고객'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실행 가능한 모든 세부 항목이 빠짐없이 포함되도록 합니다.

범주 세부 항목
마케팅 리스트 유튜브 영상 광고, 블로그 광고, 인플루언서 광고, 팝업 스토어, 전단지, 버스 광고, 지하철 광고…

 

3단계 : 시각화하여 정리

나열된 항목은 플로우차트, 벤다이어그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로직 트리(Logical Tree) 형태로 시각화를 하면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전체 단기 중기 장기
온라인 인플루언서 광고 유튜브 영상 광고 블로그 광고
오프라인 지하철 버스 광고, 팝업 스토어 전단지
*표를 활용한 정리 방법

로직 트리

MECE에 대한 결과물은 다양한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결국 논리적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의 상황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중복을 유의하여 정리하는 모든 것이 정답일 것입니다.


간단한 대화로도 문제없는 업무 진행을 위해 MECE기법은 습관처럼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