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이론

제품 개발의 첫 걸음 PRD 작성

by 김썬이 2024. 7. 5.
728x90

제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출시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PRD를 통해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기 위한 첫걸음을 할 수 있습니다.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즉,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는 PM이 작성하는 문서로 제품의 목표, 기능, 사용자 경험, 비즈니스 요구사항 등을 상세히 기술한 문서입니다. PRD는 현재의 문제 상황과 해결 방법에 대해 압축적인 정의를 해보는 방법이기 때문에 실무에서 뿐만 아니라 채용시 PM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과제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PRD작성을 꾸준히 공부하여 논리적으로 말하는 습관을 기르면 PM의 역량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PRD 구성 요소

PRD는 제품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개발팀과 디자인팀이 일관된 방향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작성을 해주는 것이 좋고, 꼭 들어가야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목표 : 제품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와 결과를 명확히 설정합니다.

2. 기능 요구사항 : 제품이 제공해야 할 핵심 기능과 그 기능들의 우선순위를 정의합니다.

3. 사용자 경험 설계 : 사용자가 제품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설명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로를 설계합니다.

4. 기술적 요구사항 : 제품의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제약사항을 명시하여 개발팀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5. 비즈니스 목표 : 제품이 달성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목표와 그 배경을 설정합니다.

6. 검토와 수정 : PRD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여 완성도를 높입니다.

PRD 작성 방법

위에서 말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PRD 문서를 작성하려면 감이 안 잡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PRD를 작성할 때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작성을 해보았습니다.

문제 정의

현황 파악

- 문제 현황에 대한 시각적 자료 이미지
- 현재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는가?

- 문제 발생의 이유 분석

해결 방안

- 문제 정의 후 해결을 위한 가설 설정

- 가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 간단한 와이어 프레임

- 상세 내용

성능지표

- 일정 기간 동안 어떤 대상으로 부터 어떤 수치를 낼 것인가

핵심지표

- 하나의 핵심 지표를 수치로 표현

보조지표

- 여러개의 보조 지표를 핵심 지표와 연관된 것으로 여러 개 설정

가드레일지표

- 설정을 바꾸고 나서도 바뀌면 안되는 것

(ex. 이커머스는 평균 구매율이 떨어지면 안 된다.)

예상 효과 (혹은 기능 릴리즈 후 피드백)

- 가설에 대한 예상 결과치

 


PRD 작성에서 주의할 점은 PRD는 보여주기식의 문서가 아닌 서로 소통을 하기 위한 자료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PRD는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주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PRD를 작성하다 보면 어느 정도의 분량이 적당한가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이 의문에 대한 답은 분량은 압축하려 하지 말고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을 하고 1장짜리 요약본을 함께 가지고 있으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한다면 스스로는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을 수 있으며, 동시에 팀원에겐 문제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