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이론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 '5why' 기법

by 김썬이 2024. 6. 22.
728x90

기획자가 하는 기본적인 업무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점을 찾아가는 기획자는 5why기법을 통해 기획력을 키우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5why를 통한 훈련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문제를 정의한 후 왜?라는 질문을 5번 진행하면 됩니다. 이를 통해 표면적인 이유에서 벗어나 진정한 근본 원인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들이 제품을 반품하고 있다."는 문제를 정의합니다. 그러면 첫 번째 질문으로 "왜 고객들이 제품을 반품할까?"에 대한 답으로 "제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두 번째 질문으로 "왜 제품이 기대에 미치치 못할까?"에 대한 답으로 "제품 설명과 실제 제품과 일치하지 않는다." 세 번째 질문으로 "왜 제품 설명과 실제 제품이 일치하지 않는가?"에 대한 답으로 "제품 설명 작성 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네 번째 질문으로 "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할까?"에 대한 답으로 "제품 정보 수집 및 검토 과정이 부족하다." 다섯 번째 질문으로 "왜 제품 정보 수집 및 검토 과정이 부실한가"에 대한 답으로 "정보 검토를 담당하는 인력이 부족하다." 식으로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복잡한 도구나 기술 없이도 간단하게 시도해 볼 수 있으며, 팀 내에서도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해결책을 논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꼭 5번이나 질문을 해야할까?

그건 아닙니다. 그러나 질문이 너무 적었을 때 이게 진정한 해답이 맞을까?라는 의문에 빠질 수 있고, 질문이 너무 많았을 때 원인을 지나친 게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 수 있습니다. 물론 5번의 질문이 꼭 해답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5번의 질문 수준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은 수많은 이용자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게 아닌가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5why기법을 지속적으로 이용해 보며 스스로 표면적 원인을 벗어나 충분히 깊이 파고들 수 있도록 훈련을 하고 5번 정도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취업준비생에게도 5why이 도움이 될까?

5why기법은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자주 사용되지만, 취업준비생도 이를 활용하여 기획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5why기법을 활용하면 문제 인식 능력이 향상되고,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이드 프로젝트 진행 후 발생했던 문제를 중심으로 5why기법을 적용해 보거나, 역기획 진행 시 문제 정의 시점에서 5why기법을 도입해보는 방법 등으로 포트폴리오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기획을 하다 보면 알게모르게 5why기법을 사용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일을 하다보면 왜 그럴까?라는 의문투성이인 하루하루가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질문을 좀 더 깊게 생각해 본다면 더 좋은 해결책을 찾고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