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획을 잘 하려면63 PM, PO, 서비스 기획자 중 나는 어떤 역할일까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의 구성원이 되면 작은 규모의 팀원으로 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렇게 일을 하다 보면 내 역할이 아닌 것 같은데도 내가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그리고 팀의 규모가 점점 커지게 되면 새로운 팀원을 유입하게 됩니다. 이때 앞으로의 전략에 따라 팀원을 차근차근 유입하게 될 텐데요. 만일 내가 기획자의 역할로 초기 멤버가 되었다면 나의 역할이 무엇인지, 앞으로 어떠한 사람을 뽑아야 할지 헷갈립니다. 특히 제가 헷갈렸던 직무는 PM(Product Manager), PO(Product Owner), 서비스 기획자(Service Planner) 이 세 가지였습니다. 이 세 가지 직무가 헷갈렸던 이유는 분명 그들은 모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끝마치기 위해 함께 노력했다는 것입.. 2023. 5. 30. 스타트업에 입사하여 스펙을 쌓고 싶은 사람들에게 취업 불황 속 희망하는 진로 분야를 계속 도전하지만 쉽지 않아 스타트업에서 경력을 먼저 쌓고 다시 도전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스타트업에 취업해야겠다고 목표하는 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아마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게 정말 도움이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일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엔 스타트업에서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이라는 환경 자체를 두려워하는 사람에게 생각보다 좋은 시도가 될지도 모른다고도 말해주고 싶습니다. 그래서 위의 이유로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해주고 싶은 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방문에 목표를 붙여두세요. 가고 싶은 회사가 있지만 순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스타트업에 취업하는 것은 목표가 아닌 과정.. 2023. 4. 30. 스타트업에서 살아남기 위해 갖게 된 기획자의 목표 대학생 때 무엇이 되어야겠다는 명확한 꿈은 없었지만 한 가지 하고 싶은 게 있다면 내가 만든 무언가에 사람들이 환호하면 좋겠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아마 관심은 받고싶지만, 직접적인 관심은 부담스러웠던 사람이 최대로 할 수 있는 꿈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20살 처음 스타트업에서 함께 일할 것을 제안받았을 때 저에게는 너무나도 흥미로운 제안이었고 그 길로 스타트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5~6년이 지난 지금 돌이켜 봤을 때 자신의의 커리어 향상을 위한 좋은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처음부터 기획을 담당하지도 않았고, 일하는 방법을 몰라 언제나 두려움과 함께 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두려움은 남아있고 나의 성장을 위해 지난 과정들을 정리하고 다시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 2023. 4. 30. 이전 1 ··· 3 4 5 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