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의 구성원이 되면 작은 규모의 팀원으로 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렇게 일을 하다 보면 내 역할이 아닌 것 같은데도 내가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그리고 팀의 규모가 점점 커지게 되면 새로운 팀원을 유입하게 됩니다. 이때 앞으로의 전략에 따라 팀원을 차근차근 유입하게 될 텐데요. 만일 내가 기획자의 역할로 초기 멤버가 되었다면 나의 역할이 무엇인지, 앞으로 어떠한 사람을 뽑아야 할지 헷갈립니다. 특히 제가 헷갈렸던 직무는 PM(Product Manager), PO(Product Owner), 서비스 기획자(Service Planner) 이 세 가지였습니다. 이 세 가지 직무가 헷갈렸던 이유는 분명 그들은 모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끝마치기 위해 함께 노력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직무는 하나의 담당자가 처리하는 것보다 각각의 담당자가 처리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입니다. 특히나 성공하는데 답은 없겠지만 스타트업의 규모가 점점 커지게 되면서 비슷한 직무의 팀원들이 계속 유입이 되었을 때 그들 간에도 명확한 업무 분담이 되어야 소통에도 오류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1. PM, PO,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
PM은 개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정 관리와 팀원 관리를 담당합니다. 목표로 향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필요한 것들에 대해 파악하여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항해자 역할과 같습니다.
PO는 제품의 비전과 프로젝트의 목표를 올바른 길로 인도합니다. 목표에 대한 근거와 기능을 뒷받침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 옆길로 새지 않도록 해주는 나침반의 역할과 같습니다.
서비스 기획자는 서비스가 고객에게 잘 다가갈 수 있도록 제안합니다. 실질적으로 고객에게 보일 모습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기획서 작성을 통해 개발자와 가장 가깝게 소통합니다.
그리고 제가 느낀 각자의 가장 막중한 책임은 PM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팀원을 설득하고, PO는 기업의 임원진들을 설득하고, 서비스 기획자는 고객을 설득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결국 모두 서비스를 만들어 간다는 것에서 동일한 접점이 있으나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위해 각각의 자리에서 설득력을 더해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2. PM, PO, 서비스 기획자 중 나에게 맞는 직무
내가 기술적으로 어떤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를 생각하여 직무 방향을 선택한다면, 업무 능력이 좋은 사람으로 보여 더욱 즐겁게 일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PM은 사람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PM의 주 역할은 팀 내의 리소스, 일정, 마일스톤 등을 관리하여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일정을 관리하기 위해선 업무별 진행 가능 일정에 대한 파악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PM이 개발에 대한 지식, 디자인에 대한 지식 등을 모두 갖추기란 어려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팀원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팀원의 능력을 파악하고 적절한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마케팅 활동 등의 이유로 가끔은 무리한 요청을 드려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런 순간에도 팀원이 지치지 않고 일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PM의 역할이라고 생각됩니다.
PO는 데이터를 잘 볼 수 있는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PO의 주 역할은 고객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목표와 기능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대한 근거를 세우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잘 수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목표에 대해 명확한 근거가 없으면 고객은 물론 프로젝트를 진행할 팀원조차도 설득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 때문에 명확한 근거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치로 표현하여 사업 지식이 없는 팀원까지도 설득하는 것이 PO의 역할이라고 생각됩니다.
서비스 기획자는 시각적인 안정감에 대한 감각이 있는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서비스 기획자의 주 역할은 래퍼런스 수집, 기획서 작성 등의 실무 능력이 중요합니다. 실무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은 곧 고객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고객은 경험을 통해 제품을 계속 이용할지 말지 선택하게 되지만 그 전에 고객의 눈에 띄려면 관심을 끌 수 있게 보이는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디자이너와 가장 밀집하게 업무를 하기도 하므로 시각적인 감각이 있는 것이 서비스 기획자에게 큰 메리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위 의견은 스타트업 근무를 통해 소수의 팀원으로 시작하여 조금씩 팀원을 늘려간 경험이 있는 기획자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서비스 기획 >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를 왜 진행하는가 PART1. 목표 설정 (0) | 2023.08.29 |
---|---|
네트워킹 모임에 처음 참여하는 초보 기획자의 자세 (0) | 2023.06.21 |
OKR? KPI? 우리의 성과를 어떻게 관리할까 (1) | 2023.06.13 |
스타트업에 입사하여 스펙을 쌓고 싶은 사람들에게 (0) | 2023.04.30 |
스타트업에서 살아남기 위해 갖게 된 기획자의 목표 (0) | 2023.04.30 |